도시의분류에 해당하는 글 1

대도시 그리고 도시의 종류

부동산정보|2020. 1. 5. 16:12

도시의 유형

 
도시의 유형은 그 기준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다. 그 분류 기준으로는 지형, 위치, 구조에서부터 기능에 이르기까지 여러 가지로 이용되고 있으나 여기 서는 1 계층적 2 구조적 3 기능적 4 법제적 5 시책적 분류 등 다섯 가지 기준을 놓고 그 유형을 분류해 보기로 한다. 

 


계층적 분류 


도시의 계층적 지위와 인구수를 기준으로 분류하는 방법이며, 지리적 중심을 기 준으로 수도와 지방 도시로, 인구수를 기준으로는 대도시, 중도시, 소도시로 분류한다. 

 

1) 지위적 분류

1 수도
수도는 「국가 정치의 전국적 중추 기관의 소재지」라고 할 수 있겠으나, 세계의 수도를 보면 그 양태가 반드시 동일하지 않다. 수도는 정치적 수도(political capital)와 지역적 수도(regional capital)로 구분되는데, 전자는 중앙 정부의 소재지, 즉 국가의 정치적 중심 도시이며, 후자는 국가 또는 대지역의 중추적인 기능을 가진 경제 적·문화적 제 기관의 집중을 조건으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수도란 한 나라에 하나밖에 없는데, 이에는 반드시 경제적·문화적인 기관도 집중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미국의 「워싱톤 D.C」와 「뉴욕」, 「호주」의 「캔버라」와 「시드니, 같은 것이 좋은 예이 다. 최근 개발도상국에서는 수도가 다른 지방 도시에 비해 월등하게 급성장함으로써 수도가 종주 도시(primate city)로 되는 경우가 많다.

 

 2 지방 도시 
지방 도시는 지방적(regional)이며 국지적(local)인 중심 기능을 가진 도시로서 국민적이고 국가적인 기초 위에서 성립된 도시와 특수 도시에 대한 상대적 개념이 다. 따라서 지방 도시는 수도가 아닌 도시로서 대도시, 중도시, 소도시가 이에 포함된다. 수도가 전국적 기반을 지닌 도시인 데 대해서 지방 도시는 지역적 기반이나 구조가 문제 되는 도시이다. 


3 대도시 
대도시는 중소 도시에 대한 상대적 개념으로서 여러 가지 뜻을 가지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인구 규모로 보아 중소 도시보다 크고 거대 도시보다는 작은 규모의 도 시를 대도시라고 한다. 

그런데 인구 규모가 어느 정도를 넘어야 대도시라고 하는가는 시대나 지역에 따라서 그 기준을 달리하고 있으며 일정하지 않다. 왜냐하면 대도시와 중소 도시를 구별하는 기준은 단순히 인구 규모만이 아니라 기능면과 지역 구조도 감안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도시의 계층 구조를 놓고 볼 때 대도시는 거대 도시와 중소 도시의 중간에 있지만, 인구의 규모와는 관계없이 그 나라에서 정치·경제·문화적 면에서 탁월한 우월감과 지배성을 지니고 있는 도시를 바로 대도시라고 하고 있다.




구조적 분류


도시의 활동은 집중적 활동과 분산적 활동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행정·사법· 입법 활동, 업무 활동, 상업 활동 등은 전자의 예이고, 거주 활동은 후자의 예이다. 이러한 활동을 기준으로 집중적 활동이 한 곳에 모인 도시를 단핵 도시, 여러 곳에 나누어져 모인 도시를 다핵 도시라고 한다. 

1) 단핵 도시 
도시의 중추 기능을 하나의 중심부에 집중시키고 있는 도시를 말한다. 도심 또는 핵심이라고도 하는 중심 업무 지역(central business district ; CBD)은 도시라고 하는 하나의 인간 정주 공간에 형성된 중심지로서 중심 교통 지역(central traffic district), 중심 상업 지역(central commercial district), 다운타운(downtown) 등으로 불리며, 시가지의 중앙에 위치하고 도시를 움직이는 중추 기능이 협소한 CBD에 응집하고 있는 곳으로 도시 상점가 · 도매 상가 등의 상업 활동, 금융·보험업상 사의 업무 활동, 행정·입법·사법 등의 관아 활동을 주로 하고 있다.

버제스(Ernest W.Burgess)의 동심원 이론(concentric zone theory), 호이트 (Homer Hoyt)의 선형 이론(sector theory) 등은 단핵 도시적 도시 구조를 지니게 된다. 이 단핵 도시는 주로 가로망이 방사형을 띠게 되며, 도시 규모가 커짐에 따라 도시 중심으로 교통 문제, 공해 문제, 열린 공간(open space)의 부족 문제 등 도심 과밀화에서 오는 각종 폐단이 발생한다. 


2) 다핵 도시 
중소 도시에서는 도시 발전의 중추적 기능을 하는 도심을 축(axis)으로 하여 도 시가 성장하지만 단핵 도시는 도시의 규모가 거대 도시로 성장함에 따라 그 중심부 가 지나치게 과밀화되어 오히려 도시 성장을 방해하게 된다. 이 폐단을 개선하기 위하여 해리스(Chanucy D. Harris)와 올만(Edward L. Ullman)은 다핵 도시 구조를 주장하고 있다. 즉, 도시의 구조는 그 특성에 따라 도시마다 단일 핵을 갖는 것보다 도시 내의 공간 구조 및 형태, 입지, 교통, 도시 활동, 규모 등의 요인에 의해 몇 개의 핵을 동시에 형성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거대 도시의 경우 도시 성장은 이 핵을 중심으로 개발과 발전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바람직하다는 것이다. 


인구 규모별 분류

1 거대 도시 

거대 도시(metropolis)는 인구 규모가 2백만 이상의 도시로서 대도시권이라는 지 역 도시 구조의 핵심지로서, 그 주변의 근교 도시나 위성 도시 또는 교외 공업지 등과 불가분의 일체적인 도시 구조체를 형성하고 있다. 거대 도시의 기능은 전국적으로 파급되어, 지방 도시적 기능도 아울러 지닌다. 거 대 도시는 대도시 지역화(metropolitanization) 과정을 거쳐 인근 중소 도시와 불가능한 기능을 수행한다는 점에서 비교적 중소 도시보다는 대도시의 경우가 거의 평균 적으로 기능 배분이 되어 있다.

2 중소 도시  
중소 도시라 함은 우리나라에서는 인구 5만 이상에서 30만 또는 50만까지의 도시 규모를 말하는데 중심 업무 지역(central business district)이 형성되고, 거기에 관 공서가와 상가로 분화한 도시 지역을 가진다. 중소 도시의 대부분은 농촌과 산업형 도시가 혼합된 사회이며, 그것은 고도로 산업화된 선진 도시와도 아주 상이한 특질을 갖고 있다.  



전문적 분류 

 

정치 행정 도시 
수도와 도청 소재지 도시와 같이 한 나라의 정치 중추 기능을 한다든가 또는 도 시 행정 기능을 갖고 있는 도시를 정치 또는 행정 도시라 한다. 정치의 중앙 집권 체제가 고도화되면 수도의 비중이 커지고 경제나 사회 활동도 집중하게 된다. 또한 도청 소재지의 도시 역시 지방 단위의 행정 권한의 집중으로 도시 행정 기능을 보유한다.

위성 도시  
대도시에 인접되어 대도시를 종주 도시로 그 기능의 일부를 분담하는 도시를 위성 도시라고 한다. 이는 1898년 영국의 하워드(E. Howard)의 전원도시에서 비롯된 것으로 이러한 위성 도시는 대도시와는 자치법상 독립된 지위를 갖고 있다.  

문화 도시 
고대 문화재를 많이 보존한 역사적 도시 또는 근대적 문화 시설이 정비된 도시를 문화 도시라 한다. 관광 도시나 학원 도시 중에는 문화 도시가 많다.

교육 도시 
교육 기관을 중심으로 형성된 도시 또는 교육 기관이 다른 도시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더 많이 집중되어 있는 도시를 교육 도시 또는 학원 도시라 한다.

관광 도시 
문화재나 명승지, 온천 등 관광 자원을 보유한 도시 또는 교통의 발달에 따라 관 광 루트가 광역화되어 그 기지로서 숙박 시설, 정보, 서비스 시설을 제공하는 도시를 관광 도시라 한다.

침실 도시
대도시 주변에 개발된 주택지로 중심 도시에 직장을 가진 사람들의 거주를 위한 장소로서만 형성된 도시를 침실 도시(bed-town) 또는 기숙사 도시(dormitary town)라 한다. 이러한 침실 도시는 직장이 중심 도시에 있지만 교통이 편리한 주변 저지가 지역으로 직·주가 분리되는 도시의 특성을 나타내는 현상의 결과이다.

공업 도시 
공업·광업 등 특수 기능을 가진 도시를 공업 도시 또는 산업 도시라 하는데, 공 업 기능을 가진 도시에는 그 업종의 특성에 따라서 경공업 도시와 중공업 도시로 구분할 수 있다. 광업은 천연적인 생산지의 제약 때문에 도시 발전에도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수가 많지는 않다. 

많은 지방 도시가 도시의 발전은 공업의 육성을 통해 가능하다고 보고 무계획적인 공장 유치를 시도하는 과정에서 당해 도시뿐만 아니라 그 주변 지역에 대기 오 염, 수질 오염, 소음 등 각종 공해 문제가 전반적으로 크게 확산되므로 환경 보전에 관한 충분한 사전 대책의 신중한 고려가 필요한 도시이다.

어업 도시 
어촌이 어항에 집중하여 부락을 형성하여 도시적인 형태를 갖춘 도시를 어업 도 시라 한다. 이러한 도시는 본래의 어업과 가공·유통의 관련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여러 가지의 어업 서비스 기능도 행하고 있다. 원래 어업은 도시적 산업이라고 할 수 없으나 최근 원양 어업의 발달로 항만 시설이나 도매 시장, 냉동 시설, 수산 가공 시설 등을 중심으로 도시가 성장하여 어업 도시가 형성되기도 한다.

군사 도시 
군사적 목적에 의한 군항, 비행장, 육·해·공군의 주둔지나 군사 기지가 있는 도 시를 군사 도시라 한다. 군은 자기 완결적 조직이어서 군사 기지나 부대의 주둔지 그 자체보다도 휴가 나온 군 관계자나 영외 거주자를 상대로 하는 서비스 분야의 3차 산업이 군사 도시의 주된 기능이 된다.

휴양 도시 
바다. 산 · 온천 등 자연환경적 조건이 양호한 지역에 휴양을 목적으로 형성된 도시를 휴양 도시라 한다. 이러한 자연의 혜택 지역에는 관광 위락 및 숙박 시설 등을 토대로 하여 휴양 도시가 형성된다.

항만 도시 
임해 지역에 발달된 도시는 항만 기능을 갖게 된다. 항만의 기능은 상항, 공업항, 어항, 군항, 피난항 등으로 구분되고, 상항은 해외 무역항과 국내 내수항으로 세분된다. 이처럼 해안을 따라 도시가 형성되어 내륙 교통로에 의하여 물자의 소통과 승객의 수송을 담당하고 출입국 관리, 검역, 세관 등 행정 기능을 하고 있는 도시가 항만 도시이다. 

 


기능적 분류 

도시는 원래 지배적·교역적 기능이 집약된 종합 도시가 많은데, 최근에 이르러 도시의 기능이 분화되어 특수한 기능을 중심으로 형성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기능적 분류는 도시의 기능에 따라서 분류하는 방법으로 다음과 같이 구분할 수 있다. 

종합 도시 
도시의 기능 구성에 있어서 각각의 기능이 평균치에 접근되어 형성된 도시를 말하는데 보통 도시 또는 표준 도시 혹은 다원화 도시라고도 한다. 도시가 지역의 중 핵으로서 지역의 모든 생활의 중추적 기능을 보유할 때 그 도시 기능은 보편적인 것이 되고, 특정한 기능에 편중되지 않아 각 기능이 평균치에 가깝게 된다.

여기서 특수한 법제 도시는 주로 대도시와 관련된 도시로서 대도시는 그 존재 성 격상의 특장 면에서나 행정 수요 면에서 중소 도시와는 질적으로 다르고, 경우에 따라서 도와 동등하거나 그 이상의 능력을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이중 행정이나 이중 감독의 폐단을 없애고 대도시 특유의 행·재정 수요에 알맞은 제도로 확립된 것이 특수적 법제 도시이다. 

1) 특별시
일반시와는 다른 특별한 지위를 인정하고, 권한과 행정 기능에 대해서 특례를 인정하는 도시를 말한다. 특히, 기능 배분과 재원 배분 및 지휘 감독 체계에 있어서 일반시와는 달리 일반적으로 도와 같은 중간 자치 단체 또는 광역 자치 단체로부터 독립해서 동격이 된다. 우리나라 서울특별시는 1961년 「지방 자치에 관한 임시조치법」에 근거하여 「서울특별시 행정에 관한 특별조치법」을 제정하여 특별한 지위를 가졌는데, 그 내용을 보면 1 내무부 장관의 일반적 지휘 감독을 벗어나서 국무총리 직속 하에 있게 하고 2 중앙 행정 기관으로부터 감독의 범위와 방법을 대폭적으로 제한하고 3 직원이 중앙 각 부처와 대등한 직급을 가지게 되었고, 어느 정도 독자적인 인사권이 허용돼 고 있는 등의 여러 가지 특례가 인정되었다. | 그러나 1991년 30년 만에 지방 의회가 부활되면서 한시법이었던 「지방 자치에 관한 임시조치법」이 폐지됨에 따라 「서울특별시 행정에 관한 특별조치법」 역시 폐지되고 그 대신 「지방자치법」에 근거하여 「서울특별시 행정 특례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어 서울특별시는 정부의 직할 하에 두고 수도로서의 특수한 지위를 부여받고 있다. 
우리나라의 서울특별시, 개정 전 영국의 카운티 바러(County Borough), 일본 의 구 「지방자치법」 속의 특별시(실시된 바 없음), 미국의 시·군 분리 방식(City County Separation), 독일의 특별시(Stadtkeris 혹은 Kreisfreie Stadt) 등이 이 에 속한다. 

2) 광역시
특별시의 하나이나 수도의 지위와 구분하기 위해서 우리나라에서 채택하고 있는 제도이다. 1963년 부산시를 직할시로 승격시킨 이후 1981년 인구 100만이 넘는 대 구와 인천을 각각 경상북도와 경기도에서 분리시켜 직할시로 승격시켰고 1987년과 1989년에 광주와 대전을 전라남도와 충청남도에서 분리시켜 직할시로 승격시켰다. 그리고 1997년에 울산시가 경상남도에서 분리되어 광역시로 승격되었다. 


3) 일반시
우리나라의 경우 지방자치법 제7조에 의하여 규정된 도시로서, 도시의 형태를 갖춘 인구 5만 이상의 시를 일반시 또는 보통시라 한다. 시는 법인격을 갖는 기초 자 치 단체로서 도의 지휘 감독을 받는다. 

 

4) 직할시

직할시는 지난 1995년부터 그 명칭이 광역시로 변경되면서 도·농 통합적 성격을 갖고 있으며, 일반시와는 달리 정부의 직할 하에 두고 행정자치부 장관의 일반적 감독을 받으면서 시 행정의 능률을 향상하기 위하여 설치된 도시이다. 이 경우 문제 되는 것은 잔여 도부(rump county)이다. 당해 도에서 인구 규모나 재정 부담 면에 서 가장 큰 대도시가 분리됨으로써 나머지 지역만을 기초로 하는 도가 자립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그것이다.  


정책적 분류 


새로운 도시를 정비 또는 개발하는 경우 개발 정책적 입장에서의 도시 분류 방법인데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1) 전원도시
영국은 18세기 중엽부터 시작된 산업 혁명을 계기로 산업화와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공업의 도시 집중과 도시권의 급격한 팽창으로 19세기 말에 이르러서는 런던이나 맨체스터 등 대도시가 각종 도시 문제에 직면하게 되었다. 이때 하워드(E. Howard)는 모도시와는 별도의 신도시로서 이상 도시인 전원도시(Garden City)를 주장하였 다. 그는 도시와 농촌 양자의 장점을 따서 자연의 미, 사회적인 기회, 공원에의 접근성, 저 주택비, 저물가, 고임금을 보장하는 자급자족적이고, 목가적인 전원도시를 만 들자는 것이었다. | 전원에 둘러싸인 도시의 규모는 인구 5~7만 정도로 토지는 공유이거나 신탁 소 유로 한다는 것이다. 이상적이면서도 현실적으로 건설된 바 있는 이 전원도시 운동 은 1903년에 회사가 창설되어 레치 워드(Letchworth)와 웰인(Welwyn)에 실제로 건설되었다. 

2) 신도시
대도시인 모도시의 무계획적인 시가지의 평면적 확산(sprawl)을 막기 위해 그린벨트(greenbelt)를 지정하고, 그 외곽에다 중·소 규모의 새로운 도시를 건설하 여 모도시의 각종 도시 문제를 완화해 보고자 영국에서 시도된 위성 도시(satel lite city)의 하나이다. 런던 계획에 마련되었던 이 뉴타운(New Town) 안은 실제로 건설되었고, 그 뒤 각국에 신도시 붐을 일으켰다. 영국의 전원도시도 일종의 신도시이며, 미국의 워싱톤 D. C 주변에 있는 레스톤 (Reston)이나 콜롬비아(Columbia), 신수도로 건설된 호주의 캔버라(Canberra), 인 도의 챈디 갈(Chandigarh), 브라질의 브라질리아(Bragilia) 등이 신도시의 대표적 예라 하겠다. 이러한 신도시는 당초 영국에서는 자급자족적 도시를 지향하였으나, 그 후 나라에 따라서는 자급자족적 도시보다는 침실 도시적 뉴타운을 건설하는 경 우가 많아 모도시와의 교통·주택 문제 해결에도 목적을 두고 있다. 

3) 성장 거점 도시
성장 거점 도시의 일반적인 의미는 1 지역의 중심지이며 2 인구·경제 활동 · 소득 등의 측면에서 성장하고 있거나, 성장 잠재력이 있는 지역이고, 3 주변 지역에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성장의 파급 효과를 줄 수 있는 도시이며 4 계획적인 노력을 통하여 인위적으로 만들어 낼 수 있는 곳이다. 우리나라에서 채택하고 있는 성장 거점 도시의 개념은 제2차 국토종합개발계획 (1982~1991년) 중에 '시 수준급 도시 가운데 지역 서비스 기능을 갖추고 있는 성장 잠재력이 큰 도시로서, 주변 낙후 지역 개발에 선도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도시’라고 규정하고 있다. 이와 같은 성장 거점 도시에 대한 집중적인 개발 및 투자를 통해 대도시로부터 넘쳐흐르는 기업을 흡수하고, 과소 지역으로부터 도시로 나가려 는 인구를 흡수하여 이들에게 직장과 생활의 기반을 제공하며, 주변 지역의 주민에 게는 고용 기회와 고도의 도시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4) 연합 도시
도시가 발전함에 따라 행정구역을 초월하는 주택 지역과 공업 지역이 확대되어 가는데 이러한 경우 도시 행정 구역 내의 한정된 시책만으로는 행정을 능률적으로 수행할 수 없다. 따라서 주변 지역의 관련 지방 자치 단체와 연합하여 광역 사무와 사업을 공동으로 실시하고 관리하는 형태를 연합 도시라 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