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만원 12개월 할부 카드 수수료와 월납입금액 계산
할부인생이라고 하죠? 보통 200만원정도 되는 물건을 구매하게 되면 한번에 카드 일시불로 긁는 사람은 거의 없을겁니다. 왜냐하면 200만원이라고 한다면 일반적인 직장인 한달치 월급정도 되기 때문입니다.
1년동안 나눠갚는 할부로 한번에 큰 목돈 지출 없이 매달 나가게 되는데, 이때 카드사 할부를 이용하게 됩니다. 카드사 할부를 이용하면 카드 수수료가 얼마나 나오게 될까요?
무이자 할부부터 찾아보자
예전에는 무이자 할부가 정말 많았던것 같은데 최근에는 할부를 해주는 곳들이 없습니다. 카드 무이자 할부 2개월 3개월 무이자 할부는 기본이고 6개월 까지 있었는데 요즘에는 이런 무이자 할부가 많이 사라졌습니다.
그래도 아직까지 카드사 중에서 무이자 할부를 이벤트로 보통 진행하고 있습니다. 카드사 이벤트기간동안은 업종에 따라서 무이자 할부를 진행하지만, 12개월 전체 무이자 까지는 없고, 보통 부분 무이자 할부로 몇달만 무이자 해주고 나머지 달은 유이자 할부입니다.
그래도 일단은 내가 무이자 할부 혜택을 받을 수 있는지 없는지부터 우선 먼저 찾아본 다음에 카드 할부를 진행하는게 좋겠습니다.
카드사별 할부수수료는?
카드사별 할부 수수료는 위와 같습니다. 카드사중에서 가장 저렴한 카드수수료는 7.7%정도 됩니다. 하지만 이렇게 가장 최저 카드사 할부수수료는 카드 할부기간이 2개월이나 3개월 정도일대 이야기입니다.
카드사 할부 수수료율은 기간이 길수록 높아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래서 보통 12개월이나 24개월로 잡게되면 보통 19.9%까지 올라가게 됩니다. 내가 카드가 여러개 있다고 한다면 내 카드사별 카드할부 수수료를 알아보고 가장 저렴한 카드사로 할부를 진행하는게 좋겠습니다.
신용카드 200만원 12개월 할부시 할부수수료는?
아마 대부분의 카드사가 12개월로 하면 19% 대의 할부수수료를 물게 됩니다. 제가 자주 쓰는 삼성카드나 현대카드만 하더라도 12개월 하면 19.5%의 할부수수료를 물게됩니다.
그래서 계산해봤습니다. 200만원을 가지고서 할부계산을 넣어서 돌어봤습니다. 할부원금은 200만원에, 할부개월은 12개월 그리고 할부수수료는 19.5%를 넣었습니다.
매달 납입해야할 할부 납입금액은?
위에서 이미 계산은 끝났습니다. 원리금 균등분할 상환으로해서 매달 똑같은 금액을 납부하게 설정을하게되면 할부원금 상환액은 매달 16만6667원이 내 카드에서 자동으로 빠져나갑니다. 12개월동안 말이죠.
할부이자는 할부원금잔액이 줄어듬에 따라서 점점 더 줄어들게 되긴 하지만 매달 똑같은 금액을 납입하기로 한거라서 첫달부터 마지막달까지 내는 상환액은 똑같습니다.
총 할부이자를 다 합쳐보면 약 21만1250원이 할부이자로만 나간겁니다. 200만원짜리 물건을 샀는데 21만1250원은 할부이자라고 생각하면 약 10%정도 더 내고 산거긴 합니다.
차라리 300만원 소액대출이 낫지 않을까?
카드 할부가 편하긴 하지만, 만약에 내가 정말 비싼 물건을 사야할게 있다고 한다면 차라리 300만원 소액대출을 받아서 사는게 돈을 더 아낄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보게 됩니다.
내가 신용등급만 좋다고 한다면 300만원 까지는 아무런 소득증빙이나 제출서류 없이 단지 몇분만에 대출이 가능한데 말이죠.
신용등급이 좋다고하면 금리도 고작 해봐야 3%대나 4%대정도 밖에 나오지 않습니다. 200만원에 대한 1년이자가 3%라고 친다면 이자가 6만원 나오는건데, 카드 할부로 해서 할부수수료 21만원 내는것보다는 6만원 대출이자로 내는게 더 저렴하다고 판단되기 때문입니다.
모바일만으로도 간단하게 300만원 소액대출까지는 가능하니 더 금리를 저렴하게 가져가고 싶으신 분들은 차라리 대출 받아놓고 구매하는게 낫겠습니다.
'금융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금저축 IRP로 세액공제 늘리는 5가지 방법 (0) | 2021.12.05 |
---|---|
1주택자 전세자금 대출 조건 정리 (0) | 2021.10.22 |
국민연금 대출 받는방법 실버론 조건 (0) | 2021.10.14 |
국민연금 많이받는 방법 3가지 (0) | 2021.10.13 |
월세 소득공제 받는 방법 (0) | 2021.10.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