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양한 도시구조이론

부동산정보|2020. 1. 8. 15:10

도시 구조와 다양한 모형들

 

대도시의 내부를 살펴보면 빌딩, 아파트, 단독 주택, 공공건물 공공건물, 도로공원, 공장, 음식점과 같은 시설물들이 매우 복잡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도 시는 규모나 위치 그리고 지형이나 발전되어 온 역사적 배경 등에 따라 약간의 차 이는 있지만 구조적인 측면에서 몇 가지의 일정한 패턴을 가지고 있다. | , 도심부에는 백화점, 업무용 빌딩, 호텔 등과 같은 높은 건물들이 들어서 있고, 그 외부 지역에는 아파트, 단독 주택, 연립 주택과 같은 주거 지역이 발달되어 있으며,, 그 밖으로는 공장들이 밀집하여 있는 지역이 있고, 도시의 시가지 경계 밖으로 는 농경지가 발달되어 있다. 도로 체계를 살펴보면 격자형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도 있고, 도심에서 교외로 자전거의 바큇살처럼 뻗어 나가는 방사형으로 구성된 경 우도 있다. 그리고 같은 종류의 주택들이 도심에서 교외로 향하는 도로를 따라 분포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한편 도시 내에서 사람들이 사는 모습을 살펴보면 서로 다른 계층이나 인종이 한 곳에 모여 사는 것을 찾아보기 어렵다. 부유층은 부유층끼리, 저소득층은 저소득층 끼리 모여 사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저소득 계층이 거주하는 불량 주택 지역은 도심 가까운 곳에 있는 경우가 많고, 좋은 학교가 있는 곳에는 학생을 둔 가구들이 모여 사는 경우가 많다. 한 도시에 여러 인종이 사는 미국 도시의 경우 흑인, 중국 인, 한국인들은 같은 인종끼리 하나의 촌락을 형성하여 사는 경우가 많다. | 이와 같이 도시의 구조를 살펴보면 물리적, 사회적, 경제적 측면에서 공통적인 특 성을 발견할 수 있다. 현대 도시에서 발견할 수 있는 이러한 구조적 패턴은 시카고 대학의 사회학자인 버게스 이래 많은 학자들이 관심을 가진 연구 대상이었다. 여기 서는 버게스의 동심원 모형을 위시하여 선형 모형, 다핵심 모형, 그리고 다차원 모 형을 중심으로 지금까지 발전되어 온 거시적 도시 구조 모형을 살펴보자.


 

동심원 모형

 

버게스(Burgess)1920년대 초에 당시의 공업 도시인 시카고의 사례를 중심으로 도시 구조를 조사·분석하여, 그 결과를 1925도시의 성장(The Growth of the City)'이라는 논문을 통하여 발표하였다. 그가 제시한 도시 구조는 도시의 중심 부에 중심 업무 지구가 있고 그 주위에 경공업 공장 지대가 있으며 이어서 주거 지 역이 발달하고 가장 외곽에 농업 지역이 발달한 형태이다. 이러한 도시 구조를 동심 원 모형(concentric zone model)이라고 한다. 이 모형은 가장 잘 알려진 모형으로 서 후에 경제학자들에 의하여 단핵 도시 모형(monocentric model)이라고도 불리고 있다. | 버게스가 비록 그의 논문에서 명시적으로 제시하지는 않았지만 그의 모형이 묵시 적으로 설정하고 있는 주요한 가정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를 구성하는 인구 집단의 문화적, 사회적 이질성은 매우 크다.

둘째, 도시 경제는 주로 상업 및 공업에 기반을 두고 있으나 본격적인 중공업의 집중은 없다.

셋째, 토지 시장은 완전 경쟁을 바탕으로 한 자유 시장 경제 체제이다.

넷째, 도시의 인구 규모와 면적은 계속 팽창한다.

다섯째, 교통의 편의성, 속도, 비용은 도시 내의 모든 방향으로 동일하다.

여섯째, 도심은 고용의 주된 중심지이며 토지 자원은 한정되어 있다.

따라서 도심의 토지 공간을 둘러싼 경쟁이 매우 심하며 지가도 매우 비싸다. 이상 과 같은 가정을 기초로 버게스는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토지 이용이 동심원 구조를 보이는 도시 구조를 제시하였다.

 

 

이 모형은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도심에서 외곽 방향으로, 중심 업무 지구 (central business district), 점이 지대(zone in transition), 근로자 주택 지대(zone of workingmen's homes), 중산층 주거 지역(residential zone), 그리고 통근자 지 대(commuter's zone)5개 제대로 구성된다

 

중심 업무 지구는 그곳에서부터 도시가 방사형으로 뻗어나가게 되는 핵심적 부 분이다. 이 지구는 상업, 사회 및 시민 생활의 중심적 역할을 하는 곳으로, 그 핵심 기능은 상업과 업무 기능이다. 점이 지대(또는 천이 지대)는 도심의 외곽을 둘러싸 고 있는 원형의 링으로, 업무 및 경공업 기능이 침입하는 곳이다.

 

이 지대는 중심 업무 지구로부터 업무나 공업 기능이 침입해 들어옴에 따라 주택이 급격히 낡고 쇠락한 것이 특징이다. 점이 지대라는 이름은 토지 이용이 주거에서 업무와 경공업으로 변해가고 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이 지대의 안쪽에는 경공업 지구가 있고 외곽에는 주거 지역이 있다. 이 곳에 거주하는 주민들은 소득이 증가하면 외곽의 근로자 주택지대로 주거를 옮겨가는 경향이 있다. 근로자 주택 지대 또는 저소득층 주택 지대는 주거 기능이 쇠락한 점이 지대를 벗어나면서도 여전히 도심에 있는 직 장에 근접하여 살기를 원하는 저소득 근로자들이 주로 거주하는 곳이다. 중산층 주 거 지역은 중산층이 거주하는 곳으로, 고급 아파트 또는 단독 주택이 입지 하는 곳이 다. 이 지대 가운데 중요한 교통 요충지에는 위성 도심(satellite loops) 또는 지구 업무 중심지(local business center)라는 일종의 부도심이 발달한다.

 

마지막으로 통근자 지대는 도시의 경계를 넘어 그 외곽에 있는 고소득 계층의 교 외 거주지이다. 이 곳에 거주하는 사람들은 주간에 도심으로 출근하고 야간에 퇴근하는 통근 패턴을 보인다. 대체로 중심 업무 지구에서 승용차로 30~60분 정도 소요되는 거리에 위치하고 있다. 버게스는 도시 성장의 과정에 몇 가지 특징이 나타난다고 지적하였다.

 

첫째는 각 지대가 그 외부에 있는 지대로 점차 침입함으로써 영역이 확대되는 천이(succession)(succession) 현상을 보인다는 점이다. 예를 들면 시카고의 경우 과거에는 현재 의 중심 업무 지구에 해당하는 부분이 시역 전체인 적도 있었고 현재의 점이 지대는 이전에 근로자 주택 지구였다.

 

둘째, 집중과 분산 과정이 동시에 일어난다는 점이다. , 중심 업무 지구는 접근 성이 좋은 곳이기 때문에 경제, 문화, 정치 등의 도시 활동이 집중하는 경향을 보이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외곽 지역에 부도심이 성장하여 도심의 기능을 분산시키는 경향도 나타나게 된다.

 

셋째, 물리적 성장과 함께 사회 구조적 변화도 겪게 된다. 도시에 다수의 새로운 인구가 이동해 오면 전통적인 관습이나 도덕관 또는 사회 조직이 와해되는 반면 새로운 태도와 가치, 그리고 사회 조직이 출현하게 된다.

 

넷째, 인구 집단의 분화가 가속화된다. , 도시의 성장과 확대되는 인종, 직업 등 에 따라 분화와 재배치가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중심 업무 지구 내나 그 인근 지역에는 이른바 불량 주거 지역이 형성된다. 흑인촌(Ghetto), 이태리촌이태리 촌(Little Sicily), 그리스 인촌 그리스 인촌(Greek Town), 중국 인촌 중국 인촌(China Town) 등과 같이 이민 제1세대로 구성된 인종 집단의 주거지와 대표적인 사례이다.

 

그리고 중심 상업 업무 지구 외측에는 슬럼이나 게토에서 벗어나 공장이나 상점에서 일하는 이민 2세대가 거주하고, 그 외측 지대에는 아파트나 단독 주택에 거주하는 중산층이 거주하고 있다. , 도시가 성장함에 따라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인종적 요인에 따라 다양한 분화가 이루어진다.

 

동심원 도시 구조가 발생하게 된 배경은 20세기 초 교통의 발전 정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 시대는 도로나 고속도로가 발전하지 못한 때로서 철도와 마차 그리 고 전차가 핵심적인 교통수단이었다.. 이 당시에 철도는 가장 중요한 지역 간 수송 수단이었고 철도역은 주로 도심부(central export node)에 자리 잡고 있었다.

 

이는 서울역이 서울의 중심적인 위치에 자리 잡고 있는 것과 같다. 그리고 도시의 교통망 은 도심을 중심으로 방사형의 모습을 하고 있어 모든 교통의 흐름이 도심으로 유출 입되었다. | 이와 같은 상황하에서 도심은 모든 도시 활동의 중심이었다. 상업과 서비스 활동 은 도심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도시에서 생산된 제품은 도심의 철도역을 통하 여 다른 지역으로 수출되었고, 주민들은 도심 방향으로 출·퇴근하였다.

 

동심원 도시 모형도 도시의 지리적, 지형적 여건에 따라 그 형태가 약간씩 달랐지만 이러한 사회, 경제적 상황을 바탕으로 형성된 도시 구조였다. 물론 동심원 모형이 과거에만 존재하였던 도시 구조는 아니다. 오늘날에도 중소 도시는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도심이 교통의 중심이고 모든 경제 활동이 도심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동 심원 형태의 도시 구조를 보이는 경우가 많은 것이다.

 


 

선형 모형

 

도시 경제학자인 호이트(Hoyt)1939년에 미국 내 142개 도시의 주거지 지대 (rent) 분석을 통해서 도시 주거 지역의 구조와 분화에 관한 이론을 제시하였다. 그의 연구 결과로 나타난 것이 이른바 선형 모형(sector model)으로, 도시 구조는 동 심원 모형과는 달리 도심에서 도시 외곽으로 뻗어 나가는 도로를 따라 선형의 분포를 하게 된다고 주장하였다.

 

그는 버게스가 설정한 가정 가운데 교통에 관한 가정, 즉 접근의 편의성과 속도, 그리고 비용은 도시 내에서 모두 같다는 가정을 제외하고 다른 가정은 동일하다는 전제하에 도시 구조를 분석하였다. 그의 선형 모형의 특징은

 

첫째, 주거 지역만을 분석의 대상으로 하였다는 점이다. 이는 버게스가 여러 가지 의 토지 이용을 분석의 대상으로 삼았던 점과 대조적이다.

 

둘째, 주택의 지대를 기초로 주거 지역의 분화를 분석한 것이라는 점이다. 그것 은 주거 지역의 지대 분포는 그 주거 지역의 사회, 경제적 구조를 파악할 수 있는 좋은 지표가 된다고 생각하였기 때문이다. 그는 지대를 고지대, 중지대, 저지대 지 역의 세 가지로 분류하여 지대 분포의 패턴을 분석함으로써 도시 공간 구조를 파악하였다.

 

호이트가 도시를 편의상 내대, 중간대, 외대의 3개 동심원 지대와 몇 개의 섹터 (sector)로 나누어 분석한 지대의 평균 분포 패턴을 살펴보면, 고지대 지역은 항상 도시 내 1개 이상의 섹터에 위치하는데 이 크기는 모두 90도 이내의 범위에 걸쳐 있다. 또한 고지대 지역은 중간대나 내대에 분포하는 경우도 있으나 주로 2~3개 섹터의 외대에 걸쳐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그리고 동일한 섹터 내에서 내대와 외대에 걸쳐 연속하여 발달하는 경우도 있다.

 

중지대 지역은 고지대 지역과 동일한 섹터 상에 위치하거나 적어도 1개 이상의 고지대 지역과 접하는 경향이 있다. 그리고 제 지대 지역은 내대에 한정되어 있지 않고 중간대 또는 외대에도 나타나며 내대에서 외대에 걸쳐 연속적으로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그리고 호이트는 주거 지역의 발전 이 항상 그 섹터의 외곽으로 향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 도시의 어느 섹터가 최초에 저지대 지역으로 발전하면 도시가 성장함에 따라 저지대 지역의 성격을 유 지하면서 외곽으로 발전하는 경향이 있고, 고지대 지역으로 자리 잡게 되면 마찬가지로 고지대 지역의 성격을 유지하면서 외곽으로 향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호이트가 밝힌 또 하나의 사실은 도시 내 주거지의 분포 패턴을 결정짓는 또 하 나의 핵심적인 인자는 고소득 계층의 입지 선택이라는 것이다.

 

, 전체 도시의 소득 계층별 주거지 분포는 부유층이 어느 곳에 입지 하느냐에 따라 결정된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호이트는 다음과 같은 고급 주거 지역의 입지 성향을 도출하였다.

 

첫째, 초기의 발생 지점으로부터 기존의 교통로를 따라 발전하거나 도시 주변의 상업 중심지와 같은 기존의 다른 핵을 향하여 진행하는 경향이 있다.

둘째, 홍수의 위험이 없는 고지대를 향해 발전하거나 공장이 들어서지 않은 호수, , , 바다 등의 연안을 따라 뻗어 나가는 경향이 있다.

셋째, 시가지 외곽의 자유롭게 개방된 곳으로써 주거 지역의 확대를 제한하는 자 연적 또는 인위적 장애물이 없는 곳을 향하여 성장하는 경향이 있다.

넷째, 최고급 주거 지역은 그 커뮤니티의 지도자급 저명인사들이 있는 방향으로 성장하는 경향이 있다.

다섯째, 사무소, 은행, 점포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여섯째, 현존하는 가장 빠른 교통로를 따라 발전하는 경향이 있다.

일곱째, 장기간에 걸쳐 동일한 방향으로 성장을 계속한다.

여덟째, 도심부의 업무 중심지 인근에 있는 낡은 주거 지역의 재개발을 통하여 고급 임대 아파트가 형성되기도 한다. 그러나 이는 소수의 대도시에서 볼 수 있는 현상이고 일반적인 현상은 아니다.

아홉째, 부동산 개발 업자가 고급 주거 지역의 자연적 발전 방향에 어느 정도 영 향을 미치지만 근본적으로 역행시키는 일은 불가능하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원리에 따라 고급 주거 지역이 좋은 입지를 선정하게 되면 중산층 주거 지역은 그 인접한 섹터에 입지 하는 경향이 있다. 그리고 저소득 계층 주민들은 도심 근처 과거 상류 계층이 거주했던 낡은 주택에서 거주하거나 판자촌을 건축하여 거주하기도 한다. 낡은 주택으로 이루어진 이 도시 주변 지대는 저지대 지역의 연장 축상에 위치하는데 그 내부에는 인종별 또는 국적별 집 단 거주지가 존재한다.

 

이상에서 호이트의 선형 모형을 살펴보았다. 그의 모형은 본질적으로 버게스의 동심원 모형에서와 같이 도시 중심부에서 외곽으로 이동함에 따라 주거 지역이 분화되는 현상을 나타내고 있으나, 도시 교통의 축을 주택 가격의 형성과 주거 지역의 분화에 영향을 미치는 또 다른 통제 요인으로 보고 있다는 점이 특징이라 할 수 있다.

 


 

다핵심 모형

 

1945년 해리스와 울맨(Harris & Ulman)이 제시한 모형으로 도심부에 하나의 중 심 업무 지구만 있는 것이 아니라 도시 외곽에 소규모의 사업 지구가 다수 형성되어 도심과 경쟁하는 도시 구조를 의미한다. 이를 다핵 모형(multicentric model)이 라고 한다.

 

그들은 동심원 모형이 토지 이용과 도시 구조의 전체적인 모습을 묘사하는 데 장 점을 가지고 있고, 선형 모형은 주거 지역의 분화와 이동에 대한 설명력이 높으나, 두 모형 모두 단핵을 가정하고 있기 때문에 대도시의 구조를 묘사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고 비판하였다. 그들은 또한 도시 내에서 발견할 수 있는 지구의 유형으로 중심 업무 지구, 도매 및 경공업 지구, 중공업 지구, 주택 지구, 소핵심 지구, 그리고 교외와 위성 도시의 6가지를 지적함으로써 소핵심이 중요한 기능임을 지적하였다.

 

 

그들은 다핵 구조가 발생하는 원인으로 다음과 같은 요인을 지적하였다.

 

첫째, 특정한 도시 활동은 전문화된 편익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그 편익을 제공하는 시설을 중심으로 집중한다. 예를 들면 소매 상가 지구는 도시 내에서 접근성이 강한 곳에, 항만 지구는 적절한 부두(water front) 공간 주변에, 공업 지구는 용지, 용수, 교통이 편리한 곳에 입지 하는 경향을 들 수 있다. 그런데 교외에도 다른 지역이나 도심과의 접근성이 편리하여 소매상가가 입지 하기에 유리한 지점이 있다.

 

둘째, 유사한 활동은 한 장소에 입지 하고자 하는 집적 지향성이 있다. 예를 들어 공장의 군집은 전문화된 서비스의 이용을 가능하게 하고 소매 상가는 소비자들의 비교 쇼핑을 위하여 한 장소에 군집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 점은 금융 또는 사무 기능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셋째, 서로 다른 활동이 같은 장소에 입지 하면 서로에게 불이익이 되는 경우가 있다. 공장과 고급 주택지, 소매업 지구와 도매업 지구, 소매업과 대규모 공업 지구 등과 같은 장소에 입지 할 경우 오히려 불이익을 초래하게 되므로 이질적인 기능은 서로 분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넷째, 어떤 도시 활동은 지대 지불 능력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예를 들면 도매상과 저장 시설은 도심이 유리한 입지 장소이기는 하지만 많은 공간이 필요하므로 지 가가 비싼 도심에 입지 하기는 어렵고 상대적으로 지가가 싼 곳에 별개의 핵을 형성하게 된다.

 

결론적으로 이 모형에 의하면 도시의 구조는 단핵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개의 불연속적인 소규모의 다핵으로 구성된다는 것이다. 이 모형은 교외화가 진행되고 있는 현대 대도시의 도시 구조를 묘사하는 데 적절한 모형이라 할 수 있다.

 


 

도시 모자이크와 다차원 모형

 

이는 도시 구조와 동심원 모형이나 선형 모형 또는 다핵심 모형이 주장하는 바와 달리 체계적인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가구의 소득, 인종, 가족 형태, 라이프스타일 등과 같은 요인에 따라 유사한 특징을 지닌 집단끼리 모여 거주함으로써 하나의 모자이크처럼 구성된다는 주장을 말한다.

 

이와 같은 주장은 워스(Wirth)의 논문 '생활양식으로서의 도시성'에서 찾아볼 수 있다. 그는 현대 도시는 밀도, 지가, 임대료, 접근성, 쾌적성, 미적인 요소 등에 따라 주거 지역으로서의 적절성 여부가 소득 계층에 따라 달라지고 인구 규모와 밀도, 그리고 이질성이라는 특성으로 인하여 취업 장소와 직업 특성, 소득, 인종, 사회적 위치, 그리고 개인의 취향 등에 따라 서로 유사한 사람들끼리 집단적으로 모임으로 써 하나의 모자이크와 같은 모습을 보이게 된다고 주장하였다.

 

한편 사이먼스(Simmons)는 사회 지역 분석(social area analysis)의 연구 성과를 기초로 모자이크의 개념을 보다 체계적으로 구현한 다차원 공간 구조 모형을 제 시하였다.

 

사회 지역 분석은 쉐브키(Shevky),(Shevky), 윌리암스(Williams), (Bell) 등에 의하여 당시에 고안된 요인 분석법(factor analysis)을 기초로 도시가 동일한 특성을 지니는 하위 지역으로 구분될 수 있는가의 여부를 분석하는 방법이다. 이들은 도시화 요인(또는 가구 특성), 사회적 지위(또는 경제적 지위), 인종적 위치 등의 사회적 구 성 요소에 따라 도시의 공간적 패턴이 어떻게 형성되는가를 구명하기 위하여 노력하였다.

 

사이먼스는 미국과 캐나다의 도시들을 대상으로 한 사회 지역 분석의 연구 성과를 종합한 결과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차원에 의하여 공간 구조가 결정되는 것을 밝혔다.

 

첫째는 사회 계층으로서 이는 인구의 경제적, 교육적, 직업적 수준을 나타낸다. 이 요인은 호이트의 선형 모형과 같이 축상으로 변화하는바 고소득 주거 지역과 저 소득 주거 지역 섹터로 분화된다.

 

둘째는 도시화 요인으로서 가족 구조, 가구 유형, 여성의 취업 상태 등을 나타낸 다. '생활양식' 변수는 도심부 아파트에 거주하는 신혼부부에서부터 교외에 거주하는 가구까지 동심원적으로 변화한다. 이를 그림으로 나타내면 버게스의 동심원 모형과 같이 표현된다. | 셋째는 인종 요인으로서 도시 인구의 인종이나 민족을 나타낸다. 이 요인은 해 리스와 울맨의 다핵심 모형과 같이 본질적으로 무작위의 불규칙한 분포 형태를 보인다.

 

다차원 모형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회 계층의 차원에서는 선형 모형이, 도시화 차원에서는 동심원 모형이, 인종 분리 차원에서는 다핵심 모형이 적용되는 것으로 상정하고 있으며, 이 세 가지 패턴을 종합하면 실제의 도시 구조가 되는 것으로 보고 있다.

20세기 초 버게스에 의하여 제시된 동심원 모형을 비롯하여 지금까지 발전되어 온 다양한 도시 구조 모형들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모형들 가운데 어느 하나의 모형 이 모든 도시의 공간 구조를 대표한다고 볼 수는 없다. 도시의 공간 구조는 도시의 지형이나 규모, 그리고 역사적인 과정에 따라 다양한 형태가 나타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모형들은 서술적 모형으로서 왜 이러한 구조와 형태가 나타나느냐에 대한 설명이 부족한 결점이 있다.

'부동산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통공급관리와 도시  (0) 2020.01.09
도시환경 문제와 관리  (0) 2020.01.08
도시성장이론과 적정규모  (0) 2020.01.08
도시와 집적효과 성장배경  (0) 2020.01.07
도시규모이론  (0) 2020.01.07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