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금서비스 이자율 카드사별, 평균금리 알아보기

금융정보|2021. 7. 12. 11:50

 

현금서비스란 카드사를 이용한 단기대출상품입니다. 현금서비스는 간편하게 당일에 급전대출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이자율이 다소 비싸다는 게 단점입니다.

 

현금서비스 이자율은 평균 얼마정도 될까요? 주요 카드사현금서비스 이자율모든 카드사의 평균 이자율 대해서 한번 자세히 살펴보고, 현금서비스 이자가 비싸다면 다른 방법은 없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CONTENTS

  • 현금서비스 카드사별 이자율
  • 현금서비스 평균이자율
  • 급전 필요할 때 소액대출이 더 낫다
  • 현금서비스 신용등급 하락 다중채무 해결방법
  • 글을 마치며

 

 

현금서비스 카드사별 이자율

 

 

카드사 현금서비스 이자율
삼성카드 연 4.90% ~ 연19.90%
신한카드 연 6.10% ~ 연19.90%
롯데카드 연 4.90% ~ 연19.90%
비씨카드 연 7.85% ~ 연19.90%
우리카드 연 6.40% ~ 연19.90%
하나카드 연 6.90% ~ 연19.95%
현대카드 연 5.50% ~ 연19.90%
KB국민카드 연 5.90% ~ 연19.95%
NH농협은행 연 6.50% ~ 연19.90%
IBK 기업은행 연 6.00% ~ 연19.90%
SC제일은행 연 7.50% ~ 연19.90%
씨티은행 연 7.50% ~ 연19.90%

 

각 카드사별 현금서비스를 본다면 삼성카드롯데카드가 최저금리가 가장 낮습니다. 최저금리가 가장 높은 회사는 BC카드로서 7.85%입니다.

 

최고금리는 연 19.95% 이하로서 법정 최고금리인 20%에 근접합니다. 이마저도 최근 2021년 7월부터 법정 최고금리가 20%로 인하되었기 때문에 낮아지게 되었습니다. 

 

현금서비스 평균 이자율

 

 

현금서비스 이자율 최저 이자율이 아무리 5%대 6%대라고 하지만 실제로 사람들이 받는 평균 이자율은 이와 차이가 있습니다. 여신금융협회가 조사한 평균금리는 일반적으로 18~19% 거의 최고금리에 가깝게 받고 있습니다.

 

신용등급이 좋고 여러 가지 우대금리 혜택을 전부 받아야 최저금리 이용이 가능합니다. 보통은 카드 이용실적이 많고 이용기간이 길며, 매월 카드 결제대금을 연체 없이 이용했다고 한다면 가능합니다.

 

최근에 법정 최고금리가 20%로 인하되면서 카드사의 현금서비스 평균 이자율도 내려가는 추세라고는 하지만 여전히 좀 많이 싸다고 볼 수 있습니다.

 

 

급전 필요할 때 소액대출이 더 낫다

 

 

최근에는 현금서비스 이용이 많이 줄어들고 있습니다. 몇 가지 이유가 있는데 카드사 현금서비스를 이용하는 순간 신용점수가 하락하게 되며 금리가 비싸기 때문입니다.

 

1금융권이나 인터넷 전문은행에서 간편 소액대출 상품들이 카드 현금서비스보다 금리는 더 저렴하고, 신용점수에도 영향을 덜 미치면서 현금서비스만큼 당일 바로 대출이 이용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핀테크의 발달로 카드 현금서비스보다 접근도 편한데 인터넷이나 모바일뱅킹을 통해서 단 몇분안에 대출 실행이 완료될 수 있습니다.

 

현재 신용등급이 좋다면 소액대출 상품들의 최저금리는 연 3%대이며 높다고 하더라도 10% 초반에서 끊기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한도도 최대 300만원까지 무직자도 이용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여러모로 소액대출 상품이 더 낫습니다. 관련한 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라겠습니다.

 

 

100만원 소액대출 핸드폰 당일 가능한곳

핸드폰으로 은행에 갈필요 없이, 복잡한 서류 필요 없이 돈을 빌릴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금융권의 비상금 소액대출 상품을 이용하는 방법입니다. 여러 가지 방법이 있지만 편법적인 방법이

realestate-asset.tistory.com

 

현금서비스 신용등급하락 다중채무 해결방법

 

 

현금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면 2금융권 상품이다보니 신용등급이 낮아질 수밖에 없습니다. 게다가 한번의 현금서비스를 받는게 아니라 여러건의 현금서비스를 받으며 채무의 건수가 늘어나게 되는 것이 가장 큰 이유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이 마저도 안되면 카드 돌려막기를 통해서 여러 카드사에서 현금서비스를 받아서 다른 현금서비스를 받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를 해결하려면 채무를 통합하고 정리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가장 좋은 방법은 정부에서 지원하는 대출상품들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저신용자 저소득자를 위한 햇살론이나, 새희망홀씨 대출상품을 이용하여 채무를 우선 한군데로 묶습니다. 그리고 매달 일정한 금액을 잘 갚아나간다면 신용등급 상승과 채무통합관리에 유리해질 수 있습니다.

 

 

대환대출 쉽게할 수 있는 팁 조건

현재 어쩔수없이 고금리를 이용하시는 분들은 저금리로 대환을 하고 싶어합니다. 그러나 이게 보통 어려운일이 아닙니다. 만약에 대환대출이 쉬웠다면 고금리를 이용하는 사람이 거의 없을겁

realestate-asset.tistory.com

 

글을마치며

 

 

오늘은 현금서비스 이자율에 대해서 한번 자세히 알아봤습니다. 카드사별 이자율은 조금씩 다르지만 어차피 신용점수가 낮다고 한다면 최저금리는 높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겠습니다.

 

만약에 현금서비스를 이용하고 싶다면 현금서비스만큼 이용이 간편한 인터넷 소액대출 상품들을 이용하는것이 금리도 더 저렴하고, 신용점수 관리에도 더욱 유리합니다.

 

만약 다중채무로 현금서비스 카드 돌려막기를 하고 계신분이라면 정부지원 대환 대출을 통해서 저금리로 갈아타는것을 추천드립니다. 여러분들의 금융생활에 작게나마 도움이 되었기를 바라겠습니다.

 

댓글()

귀농 정착지원금 자격조건 귀농지원 정책 확인하기

금융정보|2021. 7. 12. 07:40

 

 

귀농 정착지원금이라고 들어보셨나요? 도시에서 농어촌으로 이사하여 거주하면서 농업이나 어업을 한다고 하면 최대 2년 동안 첫해에는 매달 최대 80만 원씩 2년 차에는 50만 원씩 돈을 받을 수 있습니다. 청년의 경우에는 1년차 월 100만원 2년차 월90만원 3년차 월 80만원씩 3년간 받을 수 있습니다.  

 

귀농이나 귀촌을 하려고 고민하시는 분들에게 작게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CONTENTS

  • 귀농정착지원금이란?
  • 귀농 정착지원금 얼마 받나?
  • 귀농 정착지원금 자격조건
  • 귀농 정착지원금 준비서류
  • 귀농 정착지원금 신청방법
  • 청년 귀농지원금 : 청년 귀농정책지원
  • 지자체별 귀농정착지원금도 살펴보자
  • 결론

 

귀농 정착지원금이란?

 

 

귀농을 하게 되면 당장 소득이 나오지 않습니다. 농어업 또한 사업의 일종인지라 어느 정도 자리잡을 때까지는 소득이 0이 될 수 있기에 자리잡을 때까지 어느정도 금액을 지원해줍니다.

 

현재 농어촌이 대부분 고령화로 젊은 인구의 유입이 필요합니다. 대부분의 경우 만 45세 이하의 귀농인에게 지원정책이 몰려있으며 일부 지자체의 경우 만 65세 이하의 귀농인에게도 지원해주는 정책들이 있습니다. 

 

현물로 지원해주는 귀농정착지원금부터 지자체에서 지원하는 주택 및 농지구입 저리융자, 청년을 위한 귀농정착금까지 다양하게 있습니다. 

 

<같이보면 좋은글>

 

귀농 정착지원금 얼마 받나?

 

귀농정착지원금 지원내용
1년차 매월 80만원씩 
2년차 매월 50만원씩
합계 총 1560만원

 

1년 차에는 매달 80만원씩 지급하게 됩니다. 1년차에 받게 되는 지급금은 960만원입니다. 

2년 차에는 매달 50만원씩 지급됩니다. 2년차에는 총 500만원이 지급됩니다. 

 

1,2년 차 모두 합치게 된다면 1560만원을 정부에서 받을 수 있습니다. 

 

 

귀농 정착지원금 자격조건

 

기존에는 도시지역에서 살면서 다른 산업에서 종사하다가 농어촌지역으로 실제로 이주하여 거주해야 합니다. 또한 거주하면서도 농어업에 직접적으로 종사하면서 농식품과 관련된 가공 제조, 유통업을 겸업해야 합니다. 

 

예를 들면 내가 고구마 농사를 지으면서도 고구마를 인터넷으로 판매한다거나, 작은 카페를 함께 한다고 하면 더욱 좋겠죠? 

 

①나이

나이 제한이 있습니다. 나이는 만 20세 이상 만 45세 이하의 젊은 귀농인에 대해서만 지급을 하게 됩니다.

 

②경영정보 등록

농어업에 경영정보를 등록해야 합니다.

 

③세대 구성원수

세대 구성원 1인 단독으로 귀농할 경우에는 지원이 불가능합니다. 세대 구성원수는 최소 2인 이상이어야 합니다. 

 

④교육 이수

귀농정착금을 받기 위해서는 교육을 이수해야 합니다. 중앙정부 및 지자체가 주관한 교육이나 정부가 지정한 교육기관에서 귀농 및 영농 교육을 50시간 이상 이수해야합니다. 사이버교육이나 농촌재능기부 농촌봉사활동도 해당 시간에 최대 30시간까지 반영됩니다. 일반 농업교육은 10시간까지 인정됩니다. 사이버교육은 50%만 인정해줍니다.

 

귀농 정착지원금 준비서류

 

서류가 까다롭습니다. 하나씩 빠짐없이 잘 준비하시기 바라겠습니다. 기타 관할 지자체에서 추가적인 서류를 요청할 수 있습니다. 

 

  • 주민등록등본
  • 가족관계 증명서
  • 국민건강보험 카드 사본
  • 귀농인저 정착지 원사업 신청서
  • 귀농인 농어업 경영현황, 사업계획서
  • 농어업경영체 등록 신청서 사본
  • 소득 및 과세 증명원
  • 교육 이수 이행완료 확약서 (현재 교육시간이 부족한 경우)
  • 기타 경력증명서, 졸업증명서, 수료증, 농어업 종사 관계 증빙서류

 

 

귀농 정착지원금 신청방법

 

신청방법은 온라인 신청은 불가능합니다. 내 주민등록상의 주소 관할되는 읍/면/동사무소에 직접 가서 상담하고 신청하면 되겠습니다. 

 

청년 귀농 지원금 : 청년 귀농정책지원

 

이보다 더 어린 만 18세 이상 ~ 40세 미만의 경우에는 앞서 살펴본 귀농정착지원금과 비슷하지만 더 많은 금액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독립 경영하여 농지 및 시설 영농기반을 마련하고 농업경영정보를 등록하면 이용 가능합니다. 

 

청년의 경우 독립경영 1년 차는 월 100만 원 2년 차에는 월 90만 원 3년 차에는 월 80만원을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농가 경영비와 일반 가계자금으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지자체별 귀농정착지원금도 살펴보자

 

지자체별로 따져보면 만 65세 이하의 귀농 가족 세대주 신청 가능한 곳도 있습니다. 인구유출이 심각한 전라남도 강진의 경우에는 만 65세 이하 가구의 경우 각종 농기계 구입 및 창고, 하우스 구입을 위한 지원금액을 자부담 50% 지원 50%로 최대 3천만 원까지 입니다.

 

예를 들면 각종 농기계 및 시설투자비가 6천만 원이 된다고 하면 3천만 원을 지급해주는 것입니다.

 

이외에도 귀농인 보금자리 마련 보조사업이 있습니다. 주택을 수리하거나 신축과 관련된 비용을 지원해줍니다. 지원금액은 500만 원이며 100% 보조가 가능합니다. 

 

귀촌하여 주택을 수리해야 하는 경우 이용이 가능합니다. 여기에 귀농인에게 1년간 보금자리를 제공해주는 지자체도 있습니다. 

 

주택구입에 따른 융자 지원사업도 있습니다. 최대 세대당 3억 원까지 담보 100%로 저리로 연리 2%로도 이용이 가능합니다. 

 

각 지자체별로 지원 내용이 다르기 때문에 귀농하려고 하는 지역의 지원제도를 꼼꼼히 따져보는 것도 좋겠습니다.

 

 

결론

 

오늘은 귀농정착지원금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답답한 도시를 떠나서 농어촌이 오히려 더 좋은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국가에서 귀촌이나 귀농을 하려는 분들을 위해서 많은 지원제도를 운영하고 있으니 귀농을 생각하시는 분들이라면 적극적으로 정부지원을 활용하실 수 있기를 바라겠습니다. 

 

댓글()

KB국민행복적금 서류 및 가입조건 알아보기

금융정보|2021. 7. 11. 17:09

 

제로금리시대에 최근 적금이나 예금 금리가 1%도 안 되는 게 일상이 되었습니다. 하지만 내가 사회적 배려계층이라고 한다면 특혜를 받아서 더 높은 금리를 받을 수 있습니다. 바로 KB국민행복적금 이야기입니다.

 

어떤 분들이 국민은행의 KB국민행복적금을 들 수 있는지, 가입조건과 필요서류는 어떻게 되는지. 그리고 가장 중요한 금리는 얼마나 주는지에 대해서 한번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국민은행-KB국민행복적금-서류 data-ke-mobilestyle=

 

CONTETNS

  • KB국민행복적금 가입대상
  • KB국민행복적금 필요서류
  • KB국민행복적금 금리
  • 월한도금액 및 가입기간
  • KB국민은행 적금 금리 계산 

 

KB국민행복적금 가입대상

 

 

  • 기초생활수급자
  • 북한이탈주민
  • 결혼이민여성
  • 근로장려금수급자
  • 한부모가족지원 보호대상자
  • 만 65세 이상 차상위계층

 

가입대상은 일반적으로 저소득층 및 사회적배려대상자분들이 이용 가능합니다. 근로장려금 수급자까지 가입이 가능하니 근로장려금을 받을 수 있는 분들이라면 가입하시면 더 좋겠습니다. 

 

<같이보면 좋은글>

 

KB국민행복적금 필요서류

 

구분 증빙서류 발급기관
공통서류 신분증 동주민센터
기초생활수급자 수급자증명서 동주민센터
북한이탈주민 북한이탈주민증명서 시청, 군청, 구청
결혼이민 여성 혼인관계증명서 상세내용, 기본증명서 상세내용 동주민센터
근로장려금수급자 근로장려금 결정 통지서 국세청
한부모가족 보호대상자 한부모가족증명서 국세청
만 65세 차상위계층 차상위계층 확인서, 자활근로자 확인서  동주민센터
장애인 장애인 연금, 장애수당 장애아동수당 대상자 확인서 동주민센터

가입 시에 공통적인 서류인 신분증과 내 자격조건에 맞는 증빙 서류 제출이 필요합니다. 각각 발급기관에서 관련 증빙서류를 발급받을 수 있으며 은행에서 추가적인 서류를 요청할 수 있으니 서류준비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KB국민행복적금 금리

 

KB국민행복적금 금리
정액적립식 4.85%
자유적립식 3.85%

 

KB국민은행 적금은 두 가지 종류로 넣을 수 있습니다. 하나는 매달 일정한 금액을 저축하는 정액적립식입니다. 가장 많은 분들이 이용하고 추천하는 상품입니다. 금리가 무려 4.85%이기 때문입니다. 정기적인 소득이 있는 분들이 특히 정액적립식을 추천합니다.

 

자유적립식은 매달 1천원 이상 넣기만 하면되고 최대 50만원까지 매달 자유로운 금액으로 적립하면 됩니다. 금리가 정액적립식 보다 1% 낮은 3.85%의 금리가 적용됩니다. 소득이 비정기적인 분들이 주로 가입합니다.

 

중도해지시에는 최저 연 0.1%의 중대 해지 이율을 받게 됩니다. 

 

월 한도금액 및 가입기간

 

월 한도금액정액적립식월 1만 원 ~ 최대 50만 원까지, 자유적립식회차당 1천원 ~ 최대 50만원까지 가능합니다. 매달 50만 원으로 최대한도가 묶여있는 게 아쉽습니다.

 

가입기간은 최대 1년이라서 최대한도금액으로 1년간 저축한다면 원금은 600만 원까지 저축하게 됩니다.

 

600만 원이 큰 금액은 아니지만 또 어딘가에 투자하기에는 좋은 시드머니가 될 수 있습니다. 적은 금액부터 이렇게 불려 나가는 습관이 필요하겠습니다. 

 

 

KB국민은행 적금 금리 계산 

 

 

KB국민행복적금-금리계산

 

그렇다면 이자를 내가 1년 뒤에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요? 국민은행 KB국민행복 적금은 비과세 상품이라서 세금을 떼지 않습니다. 

 

적금 계산기로 계산해본 결과 1년이면 원금 합계는 600만 원에 이자는 157,625원입니다. 적은 금액을 가입하는것이지만 그래도 꽤 큰 이자가 붙게 됩니다.

 

비과세로 총 6,157,625원이라는 목돈이 1년 뒤에는 생기게 됩니다. 

 

결론

 

오늘은 근로장려금 대상자라면, 요즘 같은 시대에 5%에 가까운 적금을 주는 KB국민행복적금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돈을 불리기 위해서는 최초에 500만 원 정도 되는 시드머니를 만드는 것이 중요합니다. 돈이라는 것이 처음에는 작은 눈덩이에 불과하지만, 나중에는 주식이나 부동산으로 불려 나가면서 5천만 원, 5억 원이 될 수 있는 돈입니다. 

 

모두 재테크에 대해 많이 공부하고 또 좋은 상품들 알아보셔서 부자 되시기 바라겠습니다. 

 

 

댓글()

국민은행 주택담보대출 고정금리 모기지론 소개 KB금리고정형적격대출

금융정보|2021. 7. 9. 07:18

 

국민은행 주택담보대출 중에서 고정금리 상품을 찾는 분들이 최근에 늘어났습니다. 어찌 보면 아주 현명한 분들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

 

왜 지금 고정금리 주택담보대출을 받아야할까?

 

 

최근은 금리가 엄청 낮아서 기준금리가 제로금리에 가깝습니다. 그러다 보니 사람들이 너 나할 거 없이 무리한 대출을 일으켜서 집을 사고 주식을 사면서 자산의 가격이 폭등하게 되었습니다. 지금 당장은 저렴한 금리에 돈을 빌려서 투자하는 게 현명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추후에 기준금리가 올라가고, 이에 따라 시장금리도 올라가게 되면 매달 내야 할 상환금 부담이 커져서 결국은 파산할 수 도 있습니다. 그렇게 터진 게 바로 2008년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건이었죠. 

 

만약 지금 금리가 저렴할 때 고정금리 상품을 대출받아서 투자를 하게 된다면, 추후 금리가 올라가더라도 방어할 수 있습니다. 세계 경제학자들은 미국 연준이 2022년 기준금리를 올리고 2027년을 금리 상승의 최고점이 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KB금리고정형 적격대출 소개

 

국민은행의 고정금리 모기지론인 KB금리고정형 적격대출은 5년이라는 장기 고정금리 상품입니다. 나중에 금리가 상승하더라도 매달 납부하는 상환 부담이 늘어나지 않습니다. 

 

현재 금리가 상승할 것으로 전망되는 상황에서 금리 상승의 리스크를 줄이려고 한다면 지금 조금 더 비싼 금리를 물지만 이용할 수 있습니다. 

 

①자격조건

  • 주택 구입 자금이 필요한 민법상 성년
  • 현재 가진 주택담보로 가계대출이 필요한 성년 
  • 9억 미만 아파트, 연립, 다세대, 단독주택, 주상복합주택 가능
  • 9억 이상 주택, 오피스텔, 상가 불가능 

②한도

  • 담보 가격 이내에서 최대 5억 이내
  • 정부 규제 LTV 적용 받음

③ 금리 및 금리 기간

매입금리 상품이익률 기본금리
국고채(5년기준 공사스프레드 연 0.15% 연 2.65%
1.52% 0.98%

 

기준금리를 국고채 5년으로 잡기에 금리 변동 기간은 5년입니다. 5년이라는 시간 동안 금리의 변동이 없습니다. 한국 주택금융 공사 상품이며 여기에 국민은행이 상품 이익률을 0.15% 더 떼 갑니다.

 

신용등급이 좋다면 받게 될 최저금리는 2.65%입니다. 다른 주택담보대출상품들의 고정금리 상품 이율보다는 훨씬 더 저렴한 금리입니다. 

 

실제 금리는 본인의 신용점수 구간에 따라서 차등 적용되기 때문에 직접 상담을 받아보아야만 금리 견적이 나오게 됩니다. 연체하게 되면 가산을 연 3%씩 적용하며 최고 연 15%까지 적용될 수 있습니다. 

 

④ 기간 및 상환방법

  • 대출기간 : 10년 ~ 30년 중 선택
  • 거치기간 : 최대 1년
  • 상환방법 : 원금균등 / 원리금 균등분할 중 선택 

⑤ 중도상환 수수료

중도상환 수수료는 3년 이내에 중도상환을 하게 될 경우에는 중도상환 원금에 중도상환 수수료율 1.2%를 곱해서 대출경과일 수 / 3년을 계산하게 됩니다. 대출을 받고 나서 3년이 지나게 되면 중도상환 수수료를 물지 않아도 됩니다. 

⑥ 인지세 있음

대출 금액에 따라 인지세가 있습니다. 

인지세 고객부담 은행부담
5천만원이하 없음 없음
5천만원-1억 3만5천원 3만5천원
1억-10억 7만5천원 7만5천원

이외에도 근저당 설정 시 국민주택 채권 매입비용, 한국 주택금융공사 및 도시 보증 공사 보증서 이용 시 보증료를 부담해야 합니다. 

 

 

금리는 정말 오를까?

 

 

금리가 오른다 오른다 했지만 아직 미국의 연준은 신중한 상황입니다. 금리가 올라버리게 되면 주식시장을 비롯한 경제에 지대한 타격을 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개인적인 의견이지만 금리 인상은 불가피하다고 생각합니다. 금리의 역사가 금리 하락이 있으면 다시 상승이 있다는 것을 항상 보여주었습니다. 하지만 금리인상이 언제 어느 정도 속도로 이루 어질지에 대해서는 아무도 모르는 것 같습니다.

 

만약에 향후 금리 인상으로 인한 리스크를 회피하고 싶으신 분이라고 한다면 금리고정형 주택담보대출을 받으시는 것도 좋은 선택이라고 생각합니다. 

 

댓글()

청년우대형 청약통장 가입조건 전환 방법 구비서류

금융정보|2021. 7. 8. 07:23

 

청약통장 하나쯤 안 가지고 있는 사람이 없을 겁니다. 그런데 기존 청약통장보다 월 1.5%의 금리를 더챙겨주는 청년우대형 청약통장에 대해서 아직 모르시는 청년들이 많습니다.

 

요즘 제로금리 시대에서 어차피 가지고 있어야하는 청약통장이 최대 3.3%의 고금리를 챙겨준다고 하니 꼭 청년우대형 청약통장으로 전환해야하겠습니다.

 

오늘은 청년우대형 청약통장의 조건과 자격 전환방법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이란?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은 청년들이 내 집 마련을 위해서 일반 청약통장보다 훨씬 더 유리한 금리조건으로 가입이 되는 청약통장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일정한 가입대상 기준을 충족해야만 가입할 수 있습니다.

 

①금리 

기간 금리
1년이하 2.5%
1~2년 3%
2년 이상~10년 이하 3.3%

먼저 금리가 높습니다. 최근 예적금 금리가 연 1%가 안 되는 게 대부분인 현상인데 금리가 최고 3.3%까지 올라갑니다. 단지 1년만 넣어도 2.5%입니다. 이는 엄청난 금리입니다.

 

우대금리 적용기간은 최대 10년이며 그 이후에는 1.8%의 기존 청약저축 금리가 적용됩니다. 

 

② 비과세

금리로 이자소득을 얻었는데 이에 대해 세금으로 떼간다면 아쉽겠죠? 금리 소득에 대한 비과세 적용이 최대 500만원까지 가능합니다. 사실상 높은 금리로 얻게 된 이득을 세금 없이 전부 가져갈 수 있습니다. 

 

③ 소득공제

납입금액의 40%를 소득공제 해줍니다. 최대 납입금액 240만원 한도로 받게 되어 최대 96만원 소득공제를 받습니다. 연말정산 때 내가 받게 되는 세금 환급이 더 많다는 겁니다.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 전환 방법

 

내가 현재 가입된 주택청약통장 가입은행에 방문하여 가입 및 전환 신청이 가능합니다. 기존의 만약에 방문이 귀찮다고 하신다면 비대면으로도 개설할 수 있습니다. 각각의 인터넷 뱅킹 앱에서 메뉴를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청년 우대형 청약통장으로 전환 전에 필요서류에 대해서 꼼꼼히 챙겨서 준비하는 게 좋겠습니다. 이때에 필요한 서류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은행에서 추가적인 서류를 요청할 수도 있습니다.

  • 3개월 이내 주민등록 등본
  • 신분증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中 택 1)
  • 소득확인서류 (소득금액 증명원, 근로사업기타소득 원천징수영수증, 건강보험료 납입기록 등)
  • 무주택 확약서
  • 병역증명서 

 

 

 

가입대상은? 

 

  • 만 19~ 34세 청년 (병역기간 제외)
  • 연소득 3천만원 이하 소득신고자
  • 무주택 세대주

 

가입대상은 만 19세 이상 ~ 만 34세 청년입니다. 병역증명서에서 병역이행을 했으면 병역기간 최장 6년을 빼고까지 이용이 가능합니다.

 

직전 연도 신고소득이 있어야 하며, 연소득 3천만원 이하에 들어야 합니다. 근로소득자, 사업자, 프리랜서 및 기타 소득자 모두 가입이 가능합니다.

 

무주택 세대주가 가입 가능합니다. 현재 세대주가 아니라고 하더라도 가입 3년 이내에 세대주가 예정이면 이용 가능합니다. 

 

납입금액

 

  • 월 2만원 ~ 최대 50만원

납입금액은 월 2만원에서 월 50만원 사이입니다. 대부분의 경우 지금 당장 부담이 되어서 월 2만원을 가입하는 분들도 있습니다. 또 많게는 최대 50만원씩 넣는 분도 계시죠. 얼마가 적당할까요?

 

민영주택을 청약할 예정이라고 한다면 1순위 요건이 잔액 300만원에 2년 이상 통장 유지, 그리고 월 2만원만 넣어도 충분합니다.

 

국영주택을 청약 예정이신 분은 무조건 월 10만원씩 꾸준히 넣는 게 좋습니다. 청약가점제 외에 무주택 기간 년수와 저축총액 납입 횟수와 저축총액을 보는데 회차당 인정금액이 최대 10만원까지이기 때문입니다. 

 

 

알면 꼭 신청하자

 

자격조건이 되면 신청 안 할 이유가 없는 제도입니다. 단지 아직 많은 청년들이 몰라서, 혹은 알아도 귀찮아서 신청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내가 찾아 먹지 않으면 절대 복지제도는 먼저 다가오지 않습니다.

 

정보에 빠르고, 실행력 있는 분들은 점점 더 부자가 되고 이에 둔감한 분들은 점점 가난해지는 시대인 것 같습니다.

 

이외에도 많은 복지정보, 부동산 정보들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꼭 행동하는 분들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댓글()

청년 보증부 월세 대출 후기 무직자도 가능한가?

금융정보|2021. 7. 6. 07:11

 

오늘 이야기해볼 내용은 청년 보증부 월세대출입니다. 국가에서 지원해주는 정부지원자금인만큼 훨씬 저렴한 금리로 대출 이용이 가능합니다. 

 

뿐만 아니라 자격기준이 까다롭지 않아서 무직자나 대학생도 이용이 가능합니다. 대출 자격을 비롯한 실제로 받은 분들의 후기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청년보증부월세대출조건후기

 

청년 보증부 월세대출 내용

  • 대출신청자격
  • 주택조건
  • 한도금액
  • 대출금리
  • 대출기간과 상환방법
  • 취급수수료 없음
  • 이용 방법 및 후기
  • 필요서류

 

대출신청자격

 

  • 나이 : 만19세이상 ~ 만 34세 이하 청년
  • 계약 : 월세나 전세 계약을 체결하고 계약금 5% 이상을 지불했어야 합니다.
  • 세대주 : 대출접수일 기준으로 무주택자(세대원 포함)인 단독세대주나 예비 세대주여야 합니다.
  • 무주택자 : 주택도시기금에서 운영하는 다른 대출상품을 이용하고 있으면 이용이 불가능합니다.
  • 소득요건 : 연소득 2천만원 이하
  • 자산기준 : 2억 9천2백만원 이하

신청자격 중에 연소득 2천만 원이라는 기준이 사실상 무직자나, 대학생, 취준생 청년이 아니고서는 받기가 힘듭니다. 중소기업 다녀도 요즘은 2천만 원은 넘기 때문에, 어려운 대학생들이나 취준생 고시생들이 받기 좋은 상품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주택 조건

 

주택은 임차전용 면적인 60㎡ 이하여야 합니다. 평수로 따지자면 20평 정도 되는 크기 이하여야 합니다. 임차보증금은 5천만 원 이하의 주택이어야 하며 월세는 60만원 이하여야 합니다. 작은 주거용 오피스텔이나 원룸 투룸 정도만 가능하겠습니다. 

 

한도 금액

 

월세금 : 최대 960만원

보증금 : 최대 3500만 원

 

한도가 그렇게 놓지 않습니다. 보증금은 최대 3500만 원까지 보증금 대출이 가능하며, 월세금은 다달이 40만 원씩 2년 최대 960만 원까지 대출이 가능합니다. 이마저도 1년 미만 재직자의 경우 대출 한도가 2천만 원 이하로 제한될 수 있습니다. 여러모로 자격조건도 까다로운데 한도도 낮은 게 조금 아쉽습니다.

 

대출 금리

 

보증금 대출금리 : 1.3%

월세금 대출금리 : 1.0%

 

그렇지만 금리가 깡패입니다. 금리가 월세금은 1%라는 아주 저렴한 금리를 하고 있으며 보증금 대출금리는 1.3%의 금리를 주고 있습니다. 금리 조건은 너무 좋지만 한도나 자격조건이 조금 까다롭습니다. 

 

만약에 자격조건이 안되거나 한도가 부족한 분들은 청년전용 전세자금 대출을 받는 것도 좋은 방법이 아닐까 싶습니다. 

 

 

청년전세자금대출 조건 받는방법 후기

내가 직장 다니는 "청년"이라고 한다면 진짜 낮은 금리 1.2%에 최대 1억원까지 받을 수 있는 전세자금 대출이 있습니다. 만약에 내가 대학생이나 소득이 없다고 하더라도 최대 7000만 원까지 1.5~2.1%

realestate-asset.tistory.com

 

대출기간과 상환방법

 

이용기간은 기본 2년입니다. 최대 4회 동안 연장해서 총 10년까지 이용이 가능합니다. 10년을 이용하고 나서도 자녀가 있다면 1자녀당 2년이 추가됩니다. 워낙에 저렴한 금리라서 화폐가치 하락과 물가상승률을 고려했을 때 오히려 안 갚는 게 이득일 정도입니다.

 

상환방법은 일시상환입니다. 상환 전까지는 다달이 이자만 내다가 마지막에 한꺼번에 갚으면 되겠습니다. 만약에 대출 기간 중에 내 명의의 주택을 구입했다고 한다면 대출금을 상환해야 합니다. 

 

 

취급수수료 없음

 

중도상환 수수료가 없어서 중간에 모든 부채를 갚아도 수수료를 안 냅니다. 대출금액이 5천만 원 이하이기 때문에 인지세도 없습니다. 

 

이용 방법 및 후기

 

대출신청은 기금 e 든든 홈페이지에서 신청하거나 은행에 방문하여 신청이 가능합니다. 취급 은행은 국민은행, 농협은행, 기업은행, 우리은행, 신한은행입니다. 

 

 

기금e든든

주택도시기금 대출상품소개, 대출신청, 대출신청현황 조회, 대출실행내역 조회, 소명자료 제출

enhuf.molit.go.kr

 

1) 기금 포털에 들어가서 혹은 은행 상담을 하면서 대출 정보를 확인하고 이용이 가능한지 확인합니다.

2) 기금e든든 포털이나 은행에 방문하여 신청서를 작성합니다.

3) 자산 정보를 수집하고 심사를 하게 됩니다.

4) 자산조건 심사를 마친 이후에는 해당 결과를 통보받게 됩니다.

5) 기타 추가 서류를 한국 주택금융공사나 상담받은 은행에 서류를 제출하게 되면 추가적으로 소득과 주택에 대한 심사를 하게 됩니다.

6) 문제가 없으면 대출이 가능하다는 내용을 연락받게 되며 대출한도가 확인되고 대출을 실행하면 됩니다. 

 

필요 서류

 

 

필요서류
본인확인서류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중 1개
대상자확인서류 주민등록등본, 주민등록초본, 가족관계 증명서, 결혼예정자라면 예식장 계약서 및 청첩장, 외국인이라면 외국인 등록증
재직 및 사업확인 서류 재직증명서, 사업자등록증, 건강보험자격득실확인서
소득확인서류 소득금액증명원, 급여명세표, 임금대장, 원천징수영수증 등
무직자의 경우에는 신고사실없음 사실증명원
주택관련서류 확정일자부 임대차계약서, 임차주택 등기사항전부증명서

 

필요서류가 많은 편입니다. 자신의 조건에 따라서 필요서류가 달라지니, 은행이나 기관에서 꼭 필요한 서류들을 체크해주면 해당 서류를 준비하시면 되겠습니다. 해당 표는 참고하시기 바라겠습니다. 

 

글을 마치며

 

오늘은 청년 보증부 월세대출 자격 및 조건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봤습니다. 실제 이용하신 분들의 후기를 들어보면 여러모로 어려운 상황이라고 한다면 일단은 금리적인 측면에서는 크게 만족한다고 합니다. 말도 안되는 저렴한 금리로 이용이 가능하니까요.

 

하지만 역시 한도나 주택의 질에 있어서는 좋지 않습니다. 차라리 좀 더 높은 한도로 대출이 가능하다면 더 좋은 주택에서 월세 대신에 전세를 살 수 있어서 돈을 아낄 수 도 있습니다. 

 

많은 정부지원 상품들이 있으니 비교해보시고 신중하게 판단하시기 바라겠습니다. 

 

 

 

댓글()

보금자리론 디딤돌 차이 금리, 한도, 자격조건 차이점 정리

금융정보|2021. 7. 5. 06:48

집값이 너무나도 많이 올라간 상황에서 내 집 마련을 하기란 쉽지 않습니다. 게다가 정부의 대출규제로 인해서 수도권과 규제지역의 경우에는 LTV가 40%로 떨어진 상황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LTV가 70%까지 나오는 상품이 있다면 보금자리론과 디딤돌 대출입니다. 두 상품 모두 정부지원의 주택담보대출이라는 점에서 같지만 차이점도 많이 있습니다.

 

보금자리론 디딤돌 차이가 어떻게 되는지 한번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보금자리론-디딤돌대출-자격-금리-한도-차이점

 

◎ CONTENTS

  • 보금자리론 디딤돌 차이 1. 자격조건
  • 보금자리론 디딤돌 차이 2. 한도
  • 보금자리론 디딤돌 차이 3. 금리
  • 결론 : 많이 비교해보자

 

 

보금자리론 디딤돌 차이 1. 자격조건

 

■ 디딤돌대출

  • 부부합산 연소득 6000만원 이하
  • 생애최초나 신혼부부, 2자녀 의상의 경우 연소득 7000만원 이하
  • 무주택자
  • 5억원 이하 주택 85㎡이하 주택

 

 보금자리론

  • 부부합산 연소득 7천만원 이하
  • 신혼부부의 경우 연소득 8천500만원 이하
  • 미성년 자녀 3명 이상 가구 연소득 1억원 이하
  • 무주택자 또는 1 주택자의 경우 처분 시 가능
  • 6억원 이하 주택 85㎡이하 주택 

디딤돌 대출이 조금 더 대출 자격 중에 소득요건을 맞추기가 쉽지 않습니다. 디딤돌이 부부합산 연소득 6천만원 이하인 데에 비해 보금자리론은 7천만원까지 가능하며 신혼부부는 연소득 8500만원까지 가능합니다.

 

주택 가격 또한 디딤돌 대출이 5억 이하 주택, 보금자리론의 경우는 6억 이하 주택까지 가능합니다. 주택의 크기는 국민주택의 크기로 전부 85㎡이하 주택만 가능하며 지방으로 갈경우 더 큰 평수도 가능합니다.

 

디딤돌 대출은 무주택자만 가능한 데에 비해 보금자리론은 1 주택까지 기존주택 처분 조건으로 허용해줍니다. 여러모로 자격조건에서 디딤돌 대출이 조금 더 어렵습니다.

 

 

 

보금자리론 디딤돌 차이 2. 한도

 

■ 디딤돌대출

  • 최대 2억원까지 가능
  • 신혼가구의 경우 2억2천만원
  • 2자녀 이상 가구의 경우 2억6천만원
  • 주택담보 LTV70%까지 가능

 

 보금자리론

  • 최대 3억원까지 가능
  • 미성년 자녀 3명 이상 최대 4억원까지 가능
  • LTV 70% 동일

한도는 디딤돌이 최대 2억, 보금자리론이 최대 3억으로 더 많습니다. 디딤돌 대출의 경우 신혼가구의 경우 2억2천만원 2자녀 이상의 경우 2억 6천까지 가능합니다. 보금자리론은 3억이며 미성년 자녀 3명 이상 있을 시 최대 4억까지 가능합니다. LTV는 최대 70%로 동일합니다.

 

보금자리론 디딤돌 차이 3. 금리

 

■ 디딤돌대출

  • 1.95% ~ 2.7%
  • 생애최초 신혼가구 1.65% ~ 2.4%
  • 고정금리 및 5년 변동금리
  • 소득 수준 및 대출기간에 따른 금리 차이가 있음
소득수준 10년 15년 20년 30년
2천만원 이하 1.65% 1.75% 1.85% 1.9%
2천 ~ 4천이하 1.9% 2% 2.1% 2.15%
4천~ 7천 이하 2.15% 2.25% 2.35% 2.4%

 

 보금자리론

  • 2.2% ~ 2.5%
  • 만기 시까지 고정금리
  • 상품별 기간에 따른 금리 차이가 있음
상품 10년 15년 20년 30년
u보금자리론 2.3% 2.4% 2.5% 2.55%
아낌e보금자리론 2.2% 2.3% 2.4% 2.45%
t보금자리론 2.3% 2.4% 2.5% 2.55%

 

디딤돌 대출의 경우에는 소득이 적을수록 대출기간이 짧을수록 금리가 저렴해집니다. 가장 저렴한 금리는 1.65%입니다. 보금자리론보다 전체적으로 금리는 저렴한 편입니다.

 

보금자리론의 경우에는 은행에서 이용하는 상품에 따라서 금리가 차이 납니다. 인터넷으로 이용하는 아낌 e보금자리론이 가장 저렴한 금리를 주며 기간이 짧을수록 금리가 저렴해집니다. 

 

 

결론 : 많이 비교해보자 

 

오늘은 국가에서 지원하는 주택담보대출 중 대표적인 상품 디딤돌대출과 보금자리론 대출자격과 금리, 한도에 대해서 비교해 보았습니다.

 

핵심적인 내용들의 차이를 비교해보았더니 어떠신가요? 내 자격조건과 필요한 주택의 가격이 다르기 때문에 무엇이 맞다 틀리다 할 수 없습니다.

 

주택 가격이 저렴하고 내 소득이 낮다고 한다면 금리가 저렴한 디딤돌 대출을 이용하는 게 좋겠고, 이보다 한도가 조금 더 높고 자격조건이 완화된 상품이 보금자리론이라고 이해하시면 편할 것 같습니다.

 

이 상품만으로는 주택을 구입하기에 LTV70%까지 나온다고 해도 금액이 부족할 수 있겠습니다. 그때는 신용 대출상품까지 알아보신 뒤 구매하시는 게 일반적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이외에도 주택담보대출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들이 더 있으니 참고하셔서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같이 보면 좋은 글>

  1. 국민은행 아파트담보대출 금리비교 한도살펴보기
  2. 신한은행 아낌e보금자리론 자격 조건 금리한도
  3. 하나은행 주택담보대출금리 하나원큐 아파트론

 

댓글()

국민은행 아파트담보대출 금리비교 한도살펴보기

금융정보|2021. 7. 2. 07:41

 

국민은행에는 여러 가지 아파트 담보대출 상품들이 있습니다. 각각의 상품마다 한도와 금리, 그리고 상품 특징이 조금씩 다릅니다.

 

같은 국민은행 아파트 담보대출이라고 하더라도 내 조건에 따라서 신청할 수 있는 상품이 다르고, 또 금리나 한도도 다르게 됩니다. 오늘은 3가지 국민은행 아파트 담보대출 금리비교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금리뿐만 아니라 한도와 조건까지 비교해보면서 자신에게 잘 맞는 상품을 고르는데 참고하시기 바라겠습니다.

 

CONTENTS

  • 요약
  • 1. KB주택담보대출
  • 2. 한국금융공사 아낌e보금자리론
  • 3. KB STAR 주택구입자금 대출
  • 필요서류
  • 인지세
  • 글을 마치며

 

 

요약

 

국민은행 아파트담보대출 금리비교
KB주택담보대출 한도 제한없음 / 금리 최저 2.39% ~ 
한국금융공사 아낌e보금자리론 한도 3억6천만원 / 금리 최저 1.68% ~ 
KBSTAR 주택구입자금대출 한도 5억 / 금리 최저 2.13% ~ 

 

1. KB주택담보대출

 

◎ 요약

첫 번째로 살펴볼 상품은 KB주택담보 대출 상품입니다. 한도 제한이 없기 때문에 고가의 주택을 신규로 구입하려고 하시는 분들이 이용 가능하겠습니다. 

 

◎ 금리

금리는 기준금리가 얼마나 자주 변동되느냐에 따라서 금리가 달라지게 됩니다. 금리 변동이 긴 기간일수록 기준금리와 가산금리가 비싸지게 됩니다. 반대로 금리 변동기간이 짧을수록 금리는 저렴합니다. 

 

 

가장 많이 이용하는 게 COFIX6개월 금리입니다. 저렴한 변동금리 상품으로 하게 되면 최저금리 2.39%~ 최대 금리 4.44%까지 가능합니다. 

 

기준금리 + 가산금리 - 우대금리 형태로 가져가게 되며 우대금리는 최고 1.5%까지 가능합니다. 우대금리는 실적연동에 따라서 최고 0.9%, 영업점 우대 최고 0.3%, 전자계약 우대 0.2%, 장애인 우대 0.1%가 있습니다.

 

◎ 한도

한도는 우선 아파트 담보물의 가격이 얼마냐에 따라서 달라지게 됩니다. 구매하려거나 담보로 잡는 아파트의 가액에 따라서 높은 금액일수록 높은 금액이 나옵니다. 자신의 소득요건과 신용점수에 따라서 한도가 제한될 수 있습니다.

 

부동산 정부 정책에 따라서 LTV가 제한되게 됩니다. 투기지역이나 조정대상지역 9억 이하 아파트의 경우 실수요자 50%, 조정지역 대상 외 수도권의 경우 70%까지 나오게 됩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기간 및 상환방법

기간은 상환 방법에 따라 조금씩 달라집니다. 일시상환의 경우에는 최소 1년 최장 5년까지 가능합니다. 분할상환의 경우에는 최장 35년까지 가능합니다. 일부 일시상환 나머지 분할상환의 경우 최저 1년 최장 20년까지 가능합니다. 

 

 

2. 한국금융공사 아낌e보금자리론

 

◎ 요약

한국 주택금융공사에서 보증서를 발급받은 이후에 저렴한 금리로 이용 가능한 아파트 담보대출 상품입니다. 비교적 금리가 저렴하지만 한도가 3억 6천만 원으로 제한됩니다.

 

◎ 금리

기본 금리는 대출기간에 따라서 달라지게 됩니다. 대출기간이 짧을수록 금리가 오히려 더 저렴합니다. 우대금리를 전부 적용받으면 최저 1.68%부터 가능합니다. 

 

 

우대금리는 최대 0.8%까지 가능합니다. 가족 중에 전월세자금 보증이나 주택연금을 이용하고 있는 경우 0.1% 할인, 안심 주머니 앱 이용 시 0.2%, 신혼부부 0.2%, 취약계층의 경우 0.4%까지 가능합니다.

 

투기지역의 경우에는 연 0.1%의 추가 가산금리가 적용됩니다.

 

◎ 한도

담보평가 금액의 최대 70%까지 대출이 가능합니다. 최저 100만 원 이상 최대 3억 6천만 원 이내로 이용이 가능합니다. 3억 6천만원 수도권의 아파트를 구매하기에는 적은 금액 입니다만 최대 70%까지 이용하면 구매할 수 있는 주택이 많아질 수 있겠습니다. 

 

◎ 기간 및 상환방법

대출기간은 10년, 15년, 20년, 30년, 40년 중에서 선택할 수 있습니다. 매월 원금균등이나 원리금 균등분할상환, 매달 부담할 금액이 늘어나는 체증식 분할상환도 가능합니다. 

 

 

 

3. KB STAR 주택구입자금 대출

 

◎ 요약

인터넷으로 이용할 수 있는 KB스마트 대출상품입니다. 최대 5억까지 이용이 가능하며 금리도 저렴한 편입니다. 

 

◎ 금리

금리는 혼합형과 변동형 금리로 가져갈 수 있습니다. 혼합형 금리로 최저금리는 2.13%~, 금융채 5년을 가져간다고 하더라도 최저 2.84% ~ 라는 비교적 저렴한 금리 이용이 가능합니다. 변동금리 최저금리는 2.29%입니다. 

혼합형
변동금리

우대금리는 최고 연 1.6%까지 우대가 가능합니다. 실적연동 최대 0.9%, 영업점 우대 0.3%, 온라인 가입 0.1%, 부동산 전자계약 0.2%, 장애인 고객 우대 0.1%로 최대 1.6%입니다. 

 

◎ 한도

한도금액은 최대 5억 원 이내입니다. 담보되는 아파트 가격에 따라서 한도가 달라지게 됩니다. 

 

◎ 기간 및 상환방법

대출기간은 최저 15년 이상 최대 30년까지 가져갈 수 있습니다. 거치는 1년까지만 가능하며 원금균등분할이나 원리금 균등분할 상환으로 이용 가능합니다. 

 

 

 

필요서류

 

필요서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기본적인 서류이므로 참고하시기 바라며 이외에도 기타 추가적인 서류를 요청할 수 있습니다. 

필요서류
신분증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국내발금 여권 중 택1
토지 및 건물 등기권리증 최근 3개월 발급분
재직 및 소득증빙서류 재직증명서, 사업자등록증, 소득금액확인원, 건강보험료 납부내역서
인감증명서 인감도장, 인감증명서 3개월 이내 발급분
기타 추가 필요서류 매매계약서, 규제지역 준비서류, 우대금리증빙서류 등

 

정확한 서류들은 직접 상담을 받아서, 정확한 서류들을 사전에 안내받으시면 더욱 좋습니다. 특히 우대금리 관련 서류들은 사람마다 달라지기 때문에 잘 챙겨서 혜택 모두 받으시기 바랍니다. 

 

인지세

 

대출금액을 많이 받게 되면 법적으로 인지세를 받게 되어 있습니다. 은행과 고객이 절반씩 부담하게 됩니다. 

 

대출금액 고객부담 은행부담
5천만원 이하 없음 없음
5천 ~ 1억 35,000원 35,000원
1억 ~ 10억 75,000원 75,000원
10억 초과 175,000원 175,000원

 

글을 마치며

 

국민은행 아파트 담보대출 주요 상품 3가지를 금리비교까지 해봤습니다. 각각의 상품마다 금리 조건이 다르고 신청 조건뿐만 아니라 한도도 달라지게 됩니다.

 

같은 상황이라도 나에게 가장 유리한 상품을 고르시기 바라겠습니다. 최근 집값이 너무 많이 올라서 주택을 구매하는데도 많은 분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신중하게 고려해보시고 최대한 많은 상품들 알아보신 뒤 진행하시기 바라겠습니다. 모두 내 집 마련에 성공하시길 바라겠습니다. 

 

댓글()